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기본직불금 신청기간이 5월 말까지 연장되면서, 이제는 어떻게 신청서를 작성하고 어떤 서류를 챙겨야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.

     

    오늘은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실 때 꼭 챙겨야 할 서류와 신청서 작성 시 주의할 점을 정리해 드릴게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신청서 작성 전 확인할 것

     

     

    신청 전에 본인이 대상자인지 먼저 체크하세요!

     

    2023년 기준 농업경영체 등록자여야 합니다.  농업 경영정보시스템 홈페이지에서 농업경영체 등록 여부 확인하시면 됩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 



     

    직불금 대상 농지를 실제로 경작하고 있어야 합니다. : 즉, 서류상 농지주가 아니라 실제로 농사지으시는 분이어야 해요.

     

    소농직불금 요건(면적, 소득, 직불금 이력 등) 또는 : 면적직불금 요건(0.1~30ha 범위 내 경작면적 보유)에 해당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준비해야 할 기본 서류

    아래 서류는 기본입니다. 꼭 지참해서 가세요!


    구분 필요서류
    본인 확인 신분증 (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 등)
    농지 증빙 농지원부, 임대차계약서 또는 실제 경작 증빙 자료
    경영체 등록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 (2023년 기준 등록자)
    소농 직불 신청 시 가구원 정보, 직불금 수령 계좌 정보
    대리 신청 시 위임장 + 대리인 신분증 사본 + 본인 신분증 사본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📝 기본 직불금, 공익 직불금 신청서는 주민센터에 비치되어 있고, 현장에서 작성하시면 됩니다. 작성 시 농지 소재지, 면적, 사용 기간, 작물 종류 등 기본적인 농업 활동 내용을 기재해야 해요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신청서 작성 요령

     

     

    1. 기본정보: 이름, 주소, 연락처, 주민등록번호 정확히 기입해야 합니다. 

    2. 농지 정보: 지번, 면적, 사용 권한(자경/임차), 작물 종류를 필수로 작성하세요.

    3. 직불금 계좌: 본인 명의 계좌만 가능 (가족 계좌 불가)합니다. 

    4. 서명·날인: 서명 또는 도장 필수 (도장 준비해 가면 좋아요!)입니다. 

    5. 공익기준 준수 서약: 환경·생태 등 관련 사항에 체크 및 서명하세요.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현장 팁! 꼭 기억하세요

     

     

    ⚫관할 주민센터마다 요구 서류가 조금 다를 수 있으니 방문 전 전화 문의가 가장 안전합니다.

    주차 공간 부족하거나 대기 시간 긴 경우도 있으니 오전 일찍 방문 추천!

    가능하면 신청 마감일 이전에 여유 있게 가세요. 마감일은 혼잡해요.

     

     

    기본직불금은 신청만 잘해도 받을 수 있는 혜택입니다. 놓치지 않도록 지금 서류 확인해 두시고, 꼭! 5월 31일 전에 신청하세요 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