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평생교육이용권 신청은 완료했는데, 카드 발급은 어떻게 하지? NH농협카드가 도착했는데 어디서 써야 하는지 모르겠다면, 지금 이 글 하나로 모두 해결할 수 있습니다.
카드 발급 방법부터 사용처, 오류 대처법, 자주 묻는 질문까지 한눈에 정리했으니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.
농협 카드 발급 진행 방법
2025 평생교육이용권은 NH농협카드(채움)에 포인트 형태로 지급됩니다. 카드가 없으면 혜택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발급 절차를 완료해야 합니다.
■ NH농협은행 방문 발급 방법
가까운 농협은행 영업점을 방문해 신분증과 선정 안내 문자 또는 이메일을 제출하면 발급 가능합니다. 농협 계좌가 없을 경우, 계좌 개설 후 카드 신청 가능합니다.
■ 온라인 발급 방법 (비대면 신청)
NH농협카드 공식 홈페이지(card.nonghyup.com) 접속하여 검색창에 ‘평생교육희망카드’ 입력 후 본인 인증을 거쳐 신청신청 후 약 7일 내 자택으로 우편 배송됩니다.
📌 기존 NH농협 채움카드가 있다면 별도 발급 없이 기존 카드에 포인트가 자동 충전됩니다. 단, 체크카드나 다른 카드 종류는 사용 불가입니다.
카드 사용은 어디에서 어떻게?
발급받은 카드는 등록된 평생교육기관에서 수강료 결제 시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단순 구매, 쇼핑, 교재 단독 결제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
구분 | 내용 |
---|---|
사용 가능한 교육기관 | - 고용노동부 인가 직업훈련기관 - 지자체 평생학습관, 시민대학 - 등록된 일반 학원 - lllcard.kr에서 ‘사용기관 찾기’ 메뉴로 조회 가능 |
사용 가능한 강좌 | - 자격증 과정 (요양보호사, 컴퓨터활용능력, 전산회계 등) - 디지털 교육 (AI, 코딩, 엑셀 등) - 어학, 인문학, 창업 과정 등 |
결제 방식 | - 오프라인 수업: 해당 교육기관 방문 후 카드 결제 - 온라인 강의: 해당 기관 홈페이지에서 카드 결제 - 교재비는 수강료와 함께 결제할 경우에만 포인트 사용 가능 (교재 단독 구매 불가) |
📌 연간 기본 35만 원 한도 내에서만 사용 가능하며, 초과금액은 본인 부담입니다.
평생교육이용권 카드 발급은 어렵지 않습니다. 단계별로 확인하시면서 진행하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지금 카드 신청부터 시작해 보세요. 교육비 걱정 없이 자격증, 어학, 디지털 강의까지 자유롭게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.
평생교육이용권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카드가 아직 도착하지 않았어요. 언제 오나요?
신청 후 보통 5~7일 내 배송되며, 우편 사정에 따라 최대 10일까지 걸릴 수 있습니다. 2주 이상 미도착 시 NH농협카드 고객센터(1644-4000) 또는 거주 지역 평생교육 담당 부서로 문의하세요.
Q2. 기존에 농협카드가 있는데 또 발급받아야 하나요?
NH농협 채움카드라면 발급 불필요합니다.
하지만 다른 종류(체크카드, 타사카드)는 포인트 충전 불가하므로 별도 신청 필수입니다.
Q3. 교재만 따로 포인트로 결제 가능한가요?
안 됩니다. 교재만 단독 결제는 불가능하며, 수강료와 함께 결제할 경우에만 포인트 사용 가능합니다.
Q4. 온라인 강의는 어디서 신청하나요?
lllcard.kr 접속 후 '강좌 찾기' 메뉴에서 ‘온라인 수강 가능’ 표시가 있는 기관 확인 후 신청 가능합니다.
Q5. 바우처 포인트는 언제까지 사용 가능한가요?
해당 연도 내(2025년 12월 31일까지) 사용해야 하며, 미사용 금액은 이월 불가합니다. 포인트는 현금으로 환불되지 않습니다.
카드 결제가 안 될 때 대처방법
결제가 안 되는 이유는 대부분 간단한 사유입니다. 아래 순서대로 확인해 보세요.
■ 1. 카드가 등록되지 않았습니다
→ 카드 수령 후 반드시 등록 절차 필요. NH농협카드 고객센터 또는 홈페이지에서 등록 가능합니다.
■ 2. 사용하려는 기관이 등록된 곳이 아닙니다
→ 반드시 [lllcard.kr]에서 사용기관 여부 확인 필요. 등록되지 않은 학원이나 기관에서는 결제가 거절됩니다.
■ 3. 포인트 충전이 아직 안 됐어요
→ 선정자 등록 후 3~5일 내 포인트 반영. 일정이 지났는데도 충전되지 않았다면 국가평생교육진흥원(1600-3005)으로 문의하세요.
■ 4. 강좌 금액이 한도 초과입니다
→ 바우처 기본 한도는 35만 원. 초과 금액은 현장 결제 또는 본인카드로 차액 결제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.
■ 5. 온라인 결제가 불가능한 강좌입니다
→ 일부 온라인 기관은 카드시스템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으니 기관에 전화로 직접 문의해 확인하는 것이 정확합니다.
'정부지원금 업데이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본직불금 공익직불금 신청서 작성법 & 서류 준비 체크리스트 (0) | 2025.04.16 |
---|---|
2025 전세자금대출 조건 총정리! 한도·금리·신청방법까지 (0) | 2025.04.10 |
요양보호사 국비지원금 교육비 환급 제도 안내 (0) | 2025.03.10 |
금투세 도입 논란과 전망 알아보기 (0) | 2024.10.04 |
노인보청기 지원금 신청하기 (0) | 2024.08.07 |